오랜만의 포스팅 입니다.
하도 오랜만이다보니 손가락이 떨려 자꾸 오타가 나네요..ㅎㅎ
회사에 입사한지 어언 2년이 지나고... 바쁘다는 핑계로 블로그를 소홀히 했습니다..... 이 포스팅을하고 또 언제 포스팅을할지는 모릅니다;;;ㅎㅎㅎㅎ
암튼!.
요즘 스마트폰을 많이 쓰십니다... 저도 얼마전 구입한 갤럭시노트3 를 가지고 회사에서 열심히 놀고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팀별로 무선공유기가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핸드폰의 WIFI 기능을 켜서 핸드폰으로 빠른 인터넷 놀이를 즐기고 있었죠..
저도 핸드폰을 바꾸면서 요금제를 하향 조정해 데이터 용량이 얼마 되지 않아 WIFI로 열심히 즐겼습니다.
하지만 몇일후.... 전산팀에서 IP가 부족하다는 공지가 내려왔고, 핸드폰의 WIFI기능을 사용하지 말라는 권고가 떴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무선 공유기의 DHCP 설정을 바꿔 인터넷이 안되는 다른 IP대역으로 바꿔서 IP를 할당해 주고 있는걸 공유기를 파헤치다 알게됐습니다..
물론 스마트폰쪽에서 IP를 수동으로 할당하면 인터넷이 되긴 하지만... 그렇게 쓰고싶은 생각은 없었지요.ㅡㅡ;;
그래서 여러가지 방법을 찾던중, 두가지 대안이 나왔습니다..
첫번째로 Connectify 라는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설정이 간편하고 관리가 쉽지만 유료라는 엄청난 단점이 있습니다.. 이런데다 돈을 쓰느니 차라리 공유기를 한대 사겠습니다;;
그리고 두번째..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과 무선랜카드로 공유기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이지요...
오늘은 이 두번째 대안으로 공유기가 없는 사무실에서 인터넷을 마음껏 자유롭게 저하늘을 날아가도 놀라지 말아요.......?
암튼 인터넷을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으며 사용할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준비물은 간단합니다.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 자체로 준비 끝입니다...
데스크탑을 사용하고 있다면 무선랜카드 하나를 준비합니다...(물론 아래 설명하는 내용이 지원되는 무선랜카드..)
이제 준비가 끝났으니 회사에 출근하고 아래와 같이 Setting합니다.
1. 제가 설명하는 방법은 노트북에 유선랜으로 연결된 인터넷 신호를 노트북의 무선랜카드로 뿌려주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회사 자체에서 노트북을 사용하며 무선랜으로 인터넷을 사용한다면 이 포스팅을 찾지 않았을 뿐더러 이 방법을 사용할 이유가 없습니다.ㅡㅡ;
2. 키보드의 Alt + R 을 눌러 실행 창을 띄운 후 CMD 라고 타이핑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시커먼 창이 뜹니다.
위와 같이 실행 창에서 cmd 명령을 내립니다.
그럼 위와 같이 커맨드창이 뜨게 됩니다.. 예전에 DOS와 비슷하죠..ㅎㅎ
3. 하기 명령으로 컴퓨터에 연결된 무선랜카드가 무선 공유기의 역할을 할수 있는놈인지 알아봅니다.
netsh wlan show drivers
위와 같이 명령을 내리면 출력되는 정보에서 "호스트된 네트워크 지원 : 예" 라고 출력되는지 확인합니다.
지원이 되면 무선공유기로 사용할수 있다는 뜻이며, 아니오 라고 출력되면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이제 무선랜카드를 무선 공유기로 변신시킵니다.
여기에선 무선공유기의 SSID를 'Kwangseon' 으로 설정하고, 패스워드를 '12345678'으로 설정해 보겠습니다.
netsh wlan set hostednetwork mode=allow ssid=Kwangseon key=12345678
위의 명령어에서 ssid는 공유기 이름처럼 사용할 식별 이름이며, key는 접속시 입력하게 될 비밀번호 입니다.
여기서 비밀번호는 8자에서 63자의 ASCII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로 입력해야 합니다.
위와 같이 무선 랜카드를 공유기로 사용하기 위한 셋팅을 마쳤습니다. 무슨 모드 허용, ssid변경, 키 암호 변경 완료!!!
5. 이제 셋팅을 마친 공유기를 사용 가능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
호스트된 네트워크를 시작했다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이제 이 시커먼 창에서 할 일은 모두 끝났습니다. 미련없이 닫아줍니다.
6. 무선공유기로 설정하는것은 마쳤고, 이제 그 공유기에 인터넷선을 꼽아주는 설정을 합니다.
(하기 경로는 Windows 7버전 기준으로 설명되었습니다.)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
- Bluetooth 네트워크 연결 2 : 이건 신경쓰지 마세요.
- 무선 네트워크 연결 : 사용안함으로 돼있습니다... 이건 다른분들은 없으실거에요;; 신경쓰지마세요..
- 로컬 영역 연결 : 이 어댑터가 유선 랜카드이며, 인터넷 신호가 이 어댑터로 들어오게 됩니다.
- 무선 네트워크 연결 1 : 이건 무선 랜카드 어댑터입니다.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라고 나오지만 신경쓰지 마세요..
- 무선 네트워크 연결 3 : 이놈이 무선 공유기 역할을 할 가상 어댑터 입니다. 이름 밑에 Kwangseon 이라고 SSID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네트워크 연결 뒤에 숫자는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유선랜이 연결되어 있는 어댑터인 '로컬 영역 연결'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속성 단추를 누릅니다.
새로 뜬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에서 '공유' 탭을 클릭합니다.
'공유'탭에서 '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 할 수 있도록 허용(N)'에 체크하고,
홈 네트워킹 연결에서 무선 네트워크 3(가상 어댑터)를 선택합니다. (중요!!)
모든 설정을 마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모든 셋팅이 완료 되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트레이 아이콘에서 해당 버튼을 클릭하여 인터넷 공유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 해 봅니다.
인터넷 엑세스... 썩세스!!!!!!
이제 스마트폰에서 WIFI에 접속하여 열심히 인터넷을 즐깁니다...
신호도 잘 잡히고 인터넷도 잘 되네요!!
위와 같이 설정을 하면 노트북 근처에서는 무선 공유기가 있는것처럼 스마트폰에서 WIFI를 연결해 인터넷을 마음껏 즐길 수 있습니다.
SM-N900K | Normal program | Center-weighted average | 1/30sec | Flash did not fire | 2013:12:27 17:31:53
저는 위 사진과 같이 외장 무선 랜카드를 노트북에 연결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노트북의 내장 랜카드보다 신호강도가 더 세고, 더 먼 곳까지 신호가 도달 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제 놀아봅시다.!!!
'IT > SW, HW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버노트 포스팅 테스트. (0) | 2015.10.25 |
---|---|
[Android] 넷북에 안드로이드OS 4.4.2 설치하기 (10) | 2014.12.21 |
노트북으로 무선공유기를 만들어 와이파이존 구축하기! (43) | 2013.12.27 |
Aurvana In Ear-2 의 뻣뻣함을 이어가이드로 해결~ (2) | 2011.06.29 |
SOI 전자의 MicroSD AS 빠꾸먹은 후기.... (4) | 2011.04.28 |
CSiEDA 강좌를 시작하며.... [ 목차 ] (17) | 201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