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플레오맥스에서 나온 8000mA짜리 보조 배터리를 잘 쓰다보니 한가지 아쉬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용량이 좀 더 크면 좋을텐데..'
사용하던 보조배터리 '삼성 플레오맥스 PEB-8000'
8000mA이지만, 노트3사용의 경우 만충 2번+소니 MP3 만충 한번으로 끝납니다.
경우에 따라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 사용량이 많은 저한테는 매우 작은 용량지요..
마침 남는 배터리도 많이 있겠다, 보조배터리에서 모듈만 떼어 새로 보조 배터리를 만들어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준비물
1. 배터리팩(저는 갤럭시s5용 배터리 13개를 준비했습니다)
2. 보조배터리에서 떼낸 승압&충전 모듈(보조배터리에서 떼내지 않아도 승압모듈은 여기저기서 많이 판매 합니다.)
3. 전선 조금과 글루건 등.
갤럭시s5의 배터리 입니다. 기존 다른 배터리들보다 얄쌍하고 길쭉하네요.
단자 모습입니다. 저기에 직접 와이어를 납땜하면 되지만 플라스틱 가이드 때문에 납땜도 잘 되지 않을 뿐더러,
단자간 Short발생시 Short가 육안으로 구분되지 않습니다.
삼성 핸드폰의 대부분 단자 배열은 위 사진과 같습니다. 단자가 3극인 경우 NFC단자가 빠지게 됩니다.
회로상 (-)단자와 ID단자, NFC단자는 Short가 되어도 아무 문제가 없으나, (+)단자와 바로옆 ID단자는 Short시 계속적으로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으니 납땜시 Short에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이 배터리들을 병렬로 납땜하여 연결합니다.
이 과정은 사진을 못찍어서 합성한 사진으로 대체합니다....ㅎㅎ;;;
위 사진처럼 배터리를 겹쳐놓고 병렬로 연결합니다.
이때 주의하실 사항은 배터리 전압이 모두 비슷해야 병렬 연결시 배터리끼리의 전류 이동이 최소화 됩니다.
배터리를 병렬로 연결하면 전압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전류가 흘러 결국은 동일한 전압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전압 차이가 큰 배터리를 Short시키면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배터리 보호회로(PCM)에서 자체 Protection이 작동됩니다. 하지만 이는 충전을 한번 걸어주면 해제될것 같기는 하나, 작업시 위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미리 셀을 동일 전압으로 맞춘 후 작업 하시기 바랍니다.
이후 (+)극, (-)극을 보조배터리에서 떼어낸 승압 모듈에 붙이기만 하면 됩니다.
이것도 사진을 찍어놨어야 하는데 사진이 없네요... 승압모듈에 납땜후 배터리에 고정하고 글루건으로 쏴서 고정을 해버려서.... ㅎㅎ
그럼 완성된 사진을 보시겠습니다.
글루건을 떡칠해놔서 보기엔 좀 아좋습니다. 가운데 Miro USB 커넥터는 충전용이며, 일반 USB포트는 출력용입니다.
위와 같이 2800mA 배터리 13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36400mA짜리 보조 배터리를 만들었습니다.
근데 외관이 심히 보기 안좋네요.. 아크릴이나 다른 무언가로 껍데기를 씌워줘야 되겠습니다..
갤럭시노트3 배터리를 직접만든 보조배터리로 충전하는 모습입니다.
저 LED가 원래 배터리 남은 용량에 따라 4개가 켜지는데, 중간에 하나가 꺼졌습니다... LED 위치를 바꾸면서 끊어졌나 봅니다.
테스트를 한번 해보고 글루건으로 고정할껄... 후회가 됩니다.ㅡㅡ;
충전기로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모습입니다. 충전시 LED가 깜빡거리며, 완충시 깜빡거림이 멈춥니다.
저 모듈은 충전시 2A로 충전을 하게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2A로 충전을 하면 이론적으로 18시간이 넘게 걸립니다.
하지만 정전압 충전을 하기 때문에 이 모듈은 완전방전에서 충전까지 24시간이 모자를 정도로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하지만 그만큼 용량이 크기때문에 방전도 한참 걸립니다. 이론상 노트3 배터리도 10번이상 충전이 가능합니다.
이제 저 배터리만 가지고 다니면 외출시 전원 걱정은 안하고 다니게 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많이 무겁습니다. 대충 들어보면 1.5kg정도 되는것 같아요;;)+
'Hardware > D.I.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 쏘나타 트랜스폼 원터치 트리플 플래셔 작업 방법 DIY (0) | 2017.02.26 |
---|---|
36,400mA 초 대용량 보조배터리 만들기 (42) | 2014.06.07 |
약 2A의 고속 충전 가능한 USB 케이블 만들기. (41) | 2014.04.21 |
갤럭시S 를 USB로 사용하기 위한 이동식 데이터 케이블 만들기. (18) | 2011.07.26 |
ATmega2561과 3.2인치 TFT-LCD를 이용한 전자앨범 만들기.. (12) | 2011.07.19 |
레이저 포인터 모듈을 개조해 별지시기 만들기~ (289) | 201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