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기 개조를 해야하는데 저항 하나가 필요해 옆에 굴러다니던 배터리에서 구해볼까 하고 뜯는김에 포스팅을 합니다...ㅎㅎ
배터리에는 리튬이온 셀과 그 위에 배터리를 보호해주는 보호회로(PCM)이 존재합니다.
이 보호회로는 우리가 배터리를 위에서 봤을때 금색 단자가 있는 바로 그 부분이 PCM입니다.
PCM은 Cell에 대해 과방전, 과충전, 과전류로 부터 보호를 해 주며, 사용되는 IC에 따라 해당 Spec이 달라집니다.
SM-N900K | Normal program | Center-weighted average | 2016:03:05 23:22:25
집에 굴러다니던 배터리입니다. 어디서 쓰던건지 모르겠네요.. 갤럭시 S3도, 노트3도 아니었습니다. 갤럭시 S인가...
SM-N900K | Normal program | Center-weighted average | 2016:03:05 23:22:37
배터리의 단자 부분입니다.
단자의 수는 배터리에 NFC안테나가 포함되는경우 4개, 포함되지 않을경우 3개입니다.
배터리 극성은 좌측부터 NFC, (-)단자, ID저항, (+)단자 입니다.
SM-N900K | Normal program | Center-weighted average | 2016:03:05 23:23:56
배터리의 껍데기를 벗겨 보았습니다. FPCB로 이루어진 NFC 안테나가 부착되어 있고 2개의 단자가 PCM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SM-N900K | Normal program | Center-weighted average | 2016:03:05 23:25:47
뚜껑을 까 보았습니다. 단자 4개와 테스트포인트 3개, 모델명과 Lot 번호가 보입니다.
넥스콘 천진 공장에서 13년 9월 5일 제작한 PCM이군요. 삼성SDI에서 제작되는 각형 리튬이온 배터리는 대부분 저런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배터리 교체가 불가능한 타입의 배터리가 많이 나오는데 이는 리튬 폴리머 cell을 사용하며, PCM의 형태가 위와는 다르게 생겼습니다 .
SM-N900K | Normal program | Center-weighted average | 2016:03:05 23:33:04
PCM과 Cell을 분리했습니다.
Cell과 PCM은 SPOT용접으로 접합되어 있습니다. Cell의 가운데 부분이 (-)극성, Cell의 Body전체는 (+)극성 입니다.
SM-N900K | Normal program | Center-weighted average | 2016:03:05 23:33:14
PCM의 부품 실장 사진입니다.
주요 부품은 Protection IC, PTC, 그리고 저항과 캐패시터, 니켈 등입니다.
배터리는 분해를 해봐도 별거 없습니다.
Cell을 까보고 싶은데, 리튬이온 Cell은 전해액이 액체라 분해시 상당히 안좋을것 같아 분해를 못하고 있습니다...ㅎㅎ
'IT > SW, HW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 리튬이온 배터리 분해하기~!! (6) | 2016.03.06 |
---|---|
에버노트 포스팅 테스트. (0) | 2015.10.25 |
[Android] 넷북에 안드로이드OS 4.4.2 설치하기 (10) | 2014.12.21 |
노트북으로 무선공유기를 만들어 와이파이존 구축하기! (43) | 2013.12.27 |
Aurvana In Ear-2 의 뻣뻣함을 이어가이드로 해결~ (2) | 2011.06.29 |
SOI 전자의 MicroSD AS 빠꾸먹은 후기.... (4) | 2011.04.28 |